벌새 리뷰 – 사소해 보이는 파동 속에서 성장한 한 소녀의 내면 일기

 

한없이 작지만, 결코 가볍지 않은 마음의 진동

<벌새>(감독: 김보라, 2019)는 1994년 성수대교 붕괴라는 사회적 사건을 배경으로, 중학생 ‘은희’의 시선을 통해 세상과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담아낸 성장 영화다. 감독의 자전적 경험이 바탕이 된 이 작품은 국내외 영화제에서 60여 개의 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고, **작은 이야기 안에서 거대한 울림을 만들어낸 영화**로 평가받는다. 서론에서는 <벌새>가 단순히 ‘소녀의 성장기’를 그린 것이 아니라, **한 인간이 세상의 불완전함과 슬픔을 처음으로 받아들이는 순간들**을 어떻게 진정성 있게 축적해나가는지를 조명하고자 한다. 벌새는 작지만, 세상에서 가장 빠르게 날개를 움직이는 생명이다. 영화 <벌새>는 바로 그런 움직임을 담는다. 작지만 치열하게, 조용하지만 강렬하게.

줄거리와 흥행 포인트 – 아무 일도 없지만, 모든 일이 지나간 한 해

14살 은희(박지후 분)는 평범한 중학생이다. 학교에 가고, 친구와 싸우고, 부모의 무관심을 견디고, 연애를 하고, 병원에 다니며, 동네를 배회한다. 겉으로는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이지만, 그 속에서 그녀는 **인생의 가장 큰 질문들—사랑, 상실, 관계, 존재—을 처음으로 마주하게 된다.** 학원에서 만난 한문 선생님 영지(김새벽 분)는 은희가 유일하게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어른이다. 그러나 어느 날 그녀가 세상에서 사라지고, 은희는 처음으로 ‘이해할 수 없는 부재’와 ‘말할 수 없는 감정’을 경험하게 된다. 이 영화는 큰 사건 없이도 관객의 마음을 서서히 침투하는 정서로, 다음과 같은 포인트에서 주목받았다: 1. **박지후의 내면 연기**: 말보다 눈빛과 숨결로 감정을 표현하며, 10대의 복잡한 내면을 섬세하게 전달한다. 2. **1990년대의 세심한 재현**: VHS, 전화기, 학원 전단지 등 시대적 디테일이 극의 몰입을 돕는다. 3. **영지 선생님이라는 어른의 존재**: ‘가르치는 자’가 아닌 ‘존재를 존중해주는 자’로서의 어른상이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. 4. **느린 호흡, 깊은 여운**: 빠른 전개 없이 감정을 ‘기록하듯’ 따라가는 연출은 관객에게 사유의 시간을 허락한다. 5. **소녀를 중심으로 본 사회의 단면**: 가부장제, 학교 폭력, 의료 시스템, 여성 혐오 등이 비판 없이 존재하며, 현실적 톤으로 묘사된다.

결론 – 성장의 정의는, 세상을 이해하는 속도가 아니라 받아들이는 태도다

<벌새>는 인물이 어디로 나아가는지를 보여주지 않는다. 대신, **그 자리에 어떻게 ‘존재했는가’를 보여준다.** 은희는 자신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. 다만 그것을 감당하려 한다. 누군가가 떠나고, 누군가가 상처를 주고, 또 누군가는 아무 말 없이 곁에 남는다. 이 모든 것은 은희를 흔들고, 동시에 단단하게 만든다. 성장은 그래서 위대한 변화가 아니라, **자신을 감정 안에 그대로 두는 법을 배우는 일**이다. <벌새>는 말하지 않는다. 다만, 보여준다. 그 침묵 속에서 관객은 자기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. 그리고 마음 한편에서 작은 진동이 생긴다. 아무도 모르게, 벌새처럼.

특별 관점 리뷰 – ‘여백’이 만든 감정의 완성도

<벌새>는 ‘무엇을 보여주느냐’보다 ‘무엇을 비워두느냐’에 집중하는 영화다. 많은 장면에서 인물은 프레임의 중심에 있지 않고, 배경은 뚜렷한 목적 없이 존재하며, 대사는 종종 맥락 없이 흘러간다. 이러한 영화적 여백은 관객에게 **‘감정을 채워넣을 시간과 공간’을 제공한다.** 특히 영지 선생님의 죽음을 다루는 방식은 여백의 미학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다. 그녀의 죽음은 뉴스 자막처럼 잠깐 언급되며, 장례도, 울음도, 설명도 없다. 그 침묵 속에서 관객은 오히려 더 크게 반응한다. 왜냐하면 그 여백은 **현실과 비슷하기 때문이다.** 현실은 늘 갑작스럽고, 설명되지 않으며, 감정은 그런 방식으로 파도처럼 덮친다. <벌새>는 여백을 통해 현실을 닮고, 여백을 통해 관객에게 자리를 내어준다. 그래서 우리는 그 영화 안에서 스스로 감정을 발견하고, 은희의 이야기를 ‘우리의 이야기’로 받아들이게 된다.

다음 이전